혈당 측정 등 BT의료기기 각광
최근 바이오 기술은 치료제 개발 뿐만 아니라 진단·예측하는 의료기기 분야에서도 각광받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센서에 바이오를 접목시킨 바이오센서가 큰 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고 이 바이오센서는 의료부문에서 가장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센서란 생체감지물질과 신호 변환기로 구성돼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해 분석하고자하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장치로 자유로운 이동과 즉각적인 인지가 가능해 위험도가 높은 약품 사용을 용이하게 해줄뿐만 아니라 중환자에 대한 신속한 진료도 가능하다.

또한 바이오 분자를 인식할 수 있는 항체나 DNA를 이용해 복잡한 물질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고 분석하고 하는 물질만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즉 의료분야에서 바이오센서를 통해 질병의 진단과 관련된 감지의 한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바이오센서의 세계 시장은 2006년 약 27억 달러규모에서 2007년 29억 달러, 2008년에 약 32억 달러였으며 2010년에 약 39억달러, 2011년에는 약 43억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전문가들은 국내 바이오센서 시장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약 700억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바이오센서에 대한 수요가 많은 분야는 의료 부문으로 의료용 바이오센서 산업의 시장 성장률이 가장 높으며 향후 의료용 바이오센서는 전체시장의 90%를 차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인포피아 연구팀 석홍성 수석연구원은 "바이오센서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뤄지고 수요도 늘고 있다"며 "또 의료부문에 있어 핵심기술로 자리잡아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의료기기 시장은 더욱 범위가 넒어졌다"고 덧붙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SD기업이 '혈당측정기'를 개발·상용화했으며 인포피아 역시 혈당측정기와 콜레스테론 측정기를 개발했으며 '간질환·심장질환·암질환 등의 진단센서를 개발하고 있다.

이외에도 케이엠에이치 역시 당뇨 진단을 위한 바이오센서를 개발하는 등 많은 기업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 혈당측정기는 진단시장의 2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진단시장 중에서 단일 제품으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또 콜레스테롤 측정기는 심혈관질환자가 급속도로 늘고 있고 휴대가 가능하다는 편리함에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SD 마케팅팀 박성진 과장은 "최근 바이오를 접목시킨 바이오센서가 진단시장에서 다양하게 연구·활용되고 있다"며 "그중 혈당 측정기는 이미 상용화가 된 상태다"고 말했다.

이어 박 과장은 "의료계의 분위기가 예방의학과 맞춤형치료로 가고 있는데 이 모든 것이 이뤄질려면 정확한 진단이 뒤따라야 하고 이는 진단시장의 궁극적 목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바이오센서 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높은 시장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혈당 바이오센서 제품뿐만 아니라 젖산, 콜레스테롤 등의 다양한 바이오센서 관련 수요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국내 바이오 진단기기 시장은 아직까지 외국 제품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실정이며 아직 영세기업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정부에서의 자금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에서의 국책과제 사업 등이 이뤄지고는 있지만 현실적으로 소규모 R&D만 할 수 있을 뿐이라는 것.

A기업 B씨는 "바이오 진단 시장은 정보통신기술, 유전자 기술, 나노기술 등과 결합해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신분야기 때문에 좀더 많은 연구개발이 필요한 상태이며 좀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Posted by 민승기 기자
,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 및 정확도 높여야
최근 예측의학의 일환으로 '바이오마커'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아직도 임상에서 유용성을 검증하지 못했고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과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의료시장에 적용되는 기술개발의 초점이 발병후 치료집중이였지만 예측의학 '바이오마커'가 '뜨거운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바이오마커 기술이 실제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이용되기까지는 앞으로 갈 길이 멀었다고 입을 모았다.

바이오마커는 DNA, 대사물질, 단백질 등에서 유래된 단일 분자 또는 분자들의 패턴을 근거로 한분자적 정보로서 생명체내에 유전적 또는 후생유전적 변화의 영향으로 유발된 신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지표다.

즉 현대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암, 심혈관 및 노인성 질환 등과 관련된 바이오마커를 탑재한 바이오칩을 사용해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예측하고 발병 요인들을 제거하거나 발병 초기에 개인별 안성맞춤 치료를 적용하면 '최소비용· 최대치료효과'를 볼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바이오마커 발굴 연구는 게놈 프로젝트의 완성과 함께 탄력을 받아 각종 암, 심혈관 및 노인성 질환 등에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할 많은 바이오마커들이 발견되고 있다.

세계 바이오마커 시장은 바이오마커 발견 임상실험 및 분자진단 적용으로 세분화되며 전체 시장 규모는 2007년 56억 달러에서 2012년 128억 달러로 연평균 18%씩 급속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2012년 세계 바이오시장 예상규모 1088억 달러의 약 11.8%에 해당되며 전체 바이오시장 연평균 성장률 11~11.5%를 훨씬 상회하는 것이다.

특히 감염성질환진단은 2004년 1조6240억원에서 2009년 2조6460억원으로 연평균 성장률 10.2%를 보이고 있으며 암진단 분야는 2004년 1840억 규모에서 2009년 1조90억에 이르며 연평균 성장률이 40.5%에 달한다.

특허청 관계자는 "최근 암과 관련된 바이오마커의 출원과 감염증 및 심혈관 관련 바이오마커의 출원이 급증하고 있다"며 "바이오마커 관련 특허출원이2000년 15건에서 2008년 190건으로 급속히 늘고있다"고 말했다.

한국 Bio-IT파운드리센터 BIT융합기술 정책협의회의 '바이오마커 시장 동향 조사'에 따르면 현재 바이오마커 시장은 미국이 선두로 달리고 있으며 다른 선진국들 역시 마커시장에 본격 뛰어들고 있다.

다국적제약기업 역시 미래 의료시장의 변화가 치료에서 예방, 예후, 예측 및 개인별 맞춤의학으로 진행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이를 위해 신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해 진단 및 치료제 개발에 활용하고자 자체연구 및 전략적 제휴를 활발히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과기부의 인간유전체사업 등의 일부 세부과제들을 통해 각종 암 중심으로 바이오마커 후보유전자 및 단백질들을 발굴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기존의 공지된 유전자들을 이용하거나 다국적 진단회사의 원천 기술을 이용하고 있어 독자적인 바이오마커 확보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폐암진단마커 등을 연구하는 프로탄바이오 조제열 대표이사는 "바이오마커가 과연 질병의 특이적인 것을 찾을수 있느냐라는 회의적인 사람도 있다"며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바이오마커는 발굴하기도 쉽지 않을뿐더러 설사 발굴한다고 해도 실용화에 쓰여지는 것은 힘들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최근에는 한 개의 바이오마커가 아닌 여러개의 바이오마커를 조합해 특이도와 민감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실용화에 쓰일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점점 다가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학숙 박사는 "최근 바이오마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유방암 등에서 마커 등을 활용하고 있다"며 "하지만 아직까지 민감도 등이 부족하고 마커의 양이 아주 작기 때문에 이를 검출 할 수 있는 첨단기술이 더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또 유 박사는 "현대의학이 치료중심에서 예방·예측의학으로 바뀌고 있고 이에 따른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해 해외경쟁력까지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Posted by 민승기 기자
,
환자의 안전이 우선···안전성 확보 시급
인간 유전체(게놈) 프로젝트 이후 인체 유전자 정보가 빠른 속도로 밝혀지면서 이를 이용해 과거에는 치료할 수 없었던 질환을 치료하고자 하는 유전자치료제가 주목받고 있다.

국내 유전자의약품 개발 선두업체인 바이로메드의 유승신 개발본부장에 따르면 유전자의약품의 기술은 치료유전자 자체나 유전자를 담은 세포를 인체에 투여해 결손된 유전자를 보완 또는 새로운 기능을 제공해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이다고 설명했다.

현재 유전자의약품이 가장 먼저 상용화 된 곳은 중국이며 두경부암을 대상으로 2개의 의약품이 판매중이다.

선진국에서는 아직 시판되고 있는 유전자의약품은 없으나 일본과 유럽에서 현재 허혈성 지체질환과 뇌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이 각각 시판허가 심사 중에 있어서 관련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심혈관질환은 전세계적으로 유전자치료제의 상용화가 가장 앞선 분야로 세계 5위권의 대형제약사가 30여개국에서 허혈성 지체질환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의 마지막 단계에 있다.

일본의 한 바이오 회사는 이미 일본 내에서 심혈관 질환을 대상으로 시판 허가절차를 밟고 있는 등 선진국에서 최초로 시판되는 유전자치료제 1,2위 모두가 심혈관질환을 대상으로 하게 될 전망한 바 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바이로메드가 허혈성 지체질환, 심장질환 등 심혈관질환에 대한 유전자치료제 VM202를 개발해 현재 한국, 미국, 중국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심혈관질환의 세계적 권위자 더글러스 로소도(Dr. Douglas Losordo) 박사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전세계 사망률 1~2위를 차지하는 심혈관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지난 2~30년간 꾸준히 치료제가 개발돼 왔다. 그 중에서도 유전자치료를 이용한 접근방법은 특히 획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고 유전자치료의 가능성을 전망했다.

바이로메드 외에도 녹십자에서는 종양혈관생성을 억제하는 종양파괴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해 암치료용 유전자치료제로 다양한 암세포에서 효능을 확인하고 있으며 동아제약에서는 트라이머 형태로 분비되는 TRAIL이 발현되는 복제불능 아데노바이러스를 뇌암치료제로 개발 연구중이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975건(63.4%)으로 가장 많이 개발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영국(184건, 12%), 독일(76건, 4.9%), 스위스 46건(3%), 프랑스(41건, 2.7%) 순으로 유럽에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아시아는 총 52건의 임상시험 진행중이고 그 중 일본(17건 1.1%)이 가장 많이 개발하고 있다. 이는 나라별 임상개발건수로 10번째 순위이며 우리나라(13건, 0.8%)는 아시아 지역에서는 2번째, 나라별로는 12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유전자치료제는 신개념치료제로 최근 현대의학의 주 트렌드인 재생의학의 핵심기술이면서 난치·불치병 치료의 대안으로서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가 안전성 또는 소규모 유효성 단계에 머물러 있어 유전자치료제가 보편화되기까지는 아직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유전자치료제 개발의 성패는 안전성 확보에 달려있는데 특히 세포 침투성이 우수한 바이러스를 유전자전달체로 활용할 경우 안전성 확보는 더욱 결정적이라는 것.

IBK투자증권 임진균 리서치센터장은 "유전자치료제는 유전자를 인체에 주입 후 세포내에서 새로운 단밸질 발현을 통해 질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기술만 개발된다면 매우 효과적인 치료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임 센터장은 "하지만 안전성에 대한 해결이 과제로 남아있으며 향후 안전성이 해결된다면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Posted by 민승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