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 위한 전략이 주요 관건
그동안 정부출연기관으로 정부의 지원을 받아오던 안전성평가연구소(KIT)가 올해 안에 민영화될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3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KIT의 민영화는 빠르면 올해 초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국내 CRO기업의 판도변화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같은 지식경제부의 움직임에 KIT는 '민영화에 대한 타당성 조사'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 보고서는 2월경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민영화 추진은 정부에서 150억 상당의 지원금을 받으며 기술력 제고 등에 성공했지만 바이오톡스텍과 같은 민간CRO 기업과 경쟁을 하고 있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 때문이다.

KIT는 정부의 지원아래 동아제약, 자이데나, 바이로메드 등의 독성시험을 수행해 미FDA 임상승인 시험 허가를 받기도 했으며 해외 다국적 제약회사와 해마다 발암성 시험 등을 진행 중에 있다.

또 KIT의 장기발암성시험과 영장류를 이용한 신약 안전성 평가기술을 구축해 업계에서 인정을 받고 있다.

하지만 KIT는 일반 제약·바이오 기업들을 상대로 수익을 내기 때문에 동종 업계에서 '부당한 대우'라는 지적이 계속 돼 왔으며 이에 정부는 공정성과 산업적인 측면을 고려해 민영화를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아마 올해 초쯤이면 KIT가 정부의 손을 벗어날 수 있을 것 같다"며 "그동안 정부지원이 공정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계속 있어왔고 실제 KIT는 민간기업과 경쟁하고 있어 경제논리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KIT가 민영화 되면 효율성 개선과 서비스 개선 등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업계 한 관계자는 "그동안 KIT가 정부의 지원금을 받으며 민간기업들과 경쟁을 해왔다. 하지만 민영화가 되면 그런 혜택이 없어지기 때문에 CRO기업들 간의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될 것"이라며 민영화를 환영했다.

그렇다면 KIT가 민영화가 되면 어떤 변화가 올까. KIT 관계자에 따르면 민영화가 될 경우 정부 개입 없이 투자규모를 정할 수 있고 스피드한 경영이 이뤄질 수 있다.

또 KIT가 민영화 될 경우 민간기업의 경영시스템을 보유하게 돼 생산성 및 내부 효율성이 더욱 증대되고 서비스 개선도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정부의 지원금을 더 이상 받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지금껏 추진하던 R&D를 지속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GLP운영을 하는데 막대한 자금이 들게되는데 기존에도 적자를 유지했던 KIT가 운영하는데 힘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기업의 최적화를 이루기 위해 구조조정까지 이뤄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으며 대규모 구조조정이 시행 될 경우 CRO 전문기관으로서 국내외 경쟁력을 상실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그동안 정부의 지원속에 제약사들의 수탁비용이 해외보다 절반수준이었지만 민영화됨에 따라 수탁 비용 상승이 예상돼 제약·바이오기업들도 KIT민영화가 반갑지만은 않다.

CRO업계 관계자는 "사실 KIT가 민영화될 경우 대규모 구조조정 우려와 자금난이 올 수 있다"며 "KIT 내부에서도 민영화에 대한 반대가 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KIT 민영화 성공은 준비를 어떻게 하느냐, 어떤 전략으로 CRO시장에 뛰어드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KIT 권명상 소장은 "제약·바이오업계에서 KIT민영화에 대해 조금 우려하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으며 R&D를 지속하지 못해 향후 세계 선진화에 밀려날 가능성은 존재한다"며 "하지만 앞으로 경영효율성을 제고하는 등 성공적 민영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Posted by 민승기 기자
,